=====지난 칼럼=====/어제의 오늘

1992년 9월16일 영국 ‘검은 수요일’

이윤주 기자 
 
ㆍ파운드화 대폭락에 유럽 환율체계 탈퇴

유로존이 재정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요즘 자국 통화인 파운드를 유지하고 있는 영국은 독일과 프랑스의 고민을 보면서 웃고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확히 19년 전, 영국은 쓰라린 경험을 했다. 1992년 9월16일, 정치·경제적 치욕으로 여겨지는 ‘검은 수요일’ 사건이다.


영국은 1990년 10월8일 유럽통화제도(EMS) 중심기구인 ‘환율조절메커니즘(ERM)’에 가입했다. 유럽 내 단일통화권을 구축하려 한 유럽연합 내 국가들이 과도기적 조치로 회원국 간 기본환율을 설정한 준고정환율제를 채택한 것이다. 느슨한 수준의 고정환율제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시 협약에 따라 영국 1파운드당 독일 2.95마르크화를 기준으로 상하 6%라는 변동폭에서만 움직일 수 있었다. 변동폭을 벗어날 정도로 환율이 요동치면 회원국 중앙은행들이 시장에 개입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절했다.

위기는 독일에서 시작됐다. 1990년 통일을 달성한 독일은 낙후한 동독 경제를 단기간에 끌어올릴 필요가 있었다. 독일은 휴지조각 신세가 된 동독 화폐와 서독 화폐를 1 대 1로 맞교환하고 대대적 투자를 단행했다. 독일은 동시에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통일 후 2년 동안 10차례나 금리를 올려 물가 잡기에 나섰다.

하지만 주변 나라에는 재앙의 씨앗이었다. 높은 금리를 주는 독일로 돈이 쏠리면서 독일과 환율이 연동된 국가들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 금리를 올리자 실업률이 증가하고 경기가 급랭하는 등 불황으로 이어졌다. 1992년 9월8일 핀란드는 마르크화의 연동제를 폐기했다. 반면 독일과 함께 유럽 내 주도권을 다투고 있던 영국은 파운드화 폭락 방어에 나섰다. 보수당 출신의 존 메이저 총리는 “파운드화 평가절하는 영국의 장래에 대한 배신행위”라고까지 호언했다.

이때 펀드매니저 조지 소로스는 불안을 틈타 영국 시장을 초토화시킬 계획을 세웠다. 소로스는 언론에 직접 나서 파운드화 대폭락을 예견하면서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리고 가능한 모든 자금을 동원해 파운드화를 팔아치웠다. 소로스가 그해 9월15일 하루 동안 쏟아부은 자금만 1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소로스가 나서자 다른 헤지펀드들도 파운드화를 내다던졌고 그 액수가 1100억달러에 달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뱅크는 외환보유액을 총동원해 파운드화를 사들이고 단기금리를 10%에서 15%로 대폭 인상해 파운드화를 지키려 안간힘을 썼다. 하지만 투기자본의 총공세를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소로스는 한 달간 10억달러를 벌어들였고, 소로스 펀드의 그해 수익률은 무려 68.6%였다.

하루 만인 9월16일, 영국은 유럽 환율 메커니즘 탈퇴를 선언했다. 장기집권을 끝낸 보수당은 노동당에 정권을 내줬다. 영국이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고 별도의 통화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검은 수요일’의 충격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