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칼럼=====/어제의 오늘

1994년 참여연대 공식 출범

정진호 기자

ㆍ박원순씨, 급성장 이끌어

우리는 모두가 현실에 참여하는 사회,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연대의 깃발을 들고자 합니다. 참된 민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행동은 사회와 정치무대의 한복판에서, 그리고 국민의 일상생활 과정에서 일어나야 합니다. 민주주의란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주인이 머슴처럼 취급받고, 국민의 공복에 불과한 사람들이 주인 위에 군림하는 시대착오적 현상이 만연해 왔습니다. 누가 권력을 잡든 이러한 본말전도적 현상을 스스로 개선하려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민 스스로의 참여와 감시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새로운 사회의 지향점을 참여와 인권 두 개의 축으로 하는 희망 공동체 건설로 설정했습니다.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약칭 참여연대)가 여러 시민들이 함께 모여, 다같이 만들어 가는 공동체의 조그만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참여연대 ‘창립선언문’에서 발췌).

1994년 9월10일 오후 2시, 서울 서초동 대한변협회관에서 참여연대 창립총회가 열렸다. 김중배(언론인)·오재식(크리스찬아카데미 사회교육원장)·홍성우(변호사)씨를 공동대표로 학계, 문화계, 종교계 인사 200여명이 모여 권력감시와 인권개선을 통한 ‘희망 공동체 건설’을 선포하고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

참여연대가 출범한 1994년은 군부개혁·관계 사정·금융실명제 등으로 한때 국민의 지지를 받던 김영삼 정부가 재벌·행정개혁 분야에서 난항을 겪던 시기였다.

또한 건실한 시민단체로 평가되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주요 간부들의 잇단 청와대행과 입각으로 정치적 편향 시비에 휘말려 있었다. 새롭게 출범한 문민정부에 대한 실망감과 경실련보다 더 진보적인 시민단체에 대한 필요성이 참여연대를 탄생시킨 배경이라는 주장도 있다.

참여연대는 1997년 시작한 ‘소액주주운동’으로 재벌 등 대주주들의 탈법적 전횡을 견제해 국민적 호응을 얻었다. 2000년엔 전국 시민사회단체들과 총선연대를 결성해 부패·무능 정치인·지역 감정을 선동하는 후보들을 겨냥한 ‘낙천·낙선운동’을 벌여 전국적 반향을 일으켰다.
최근 서울시장 시민후보로 나선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도 참여연대와 인연이 깊다. 창립 당시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이름을 올린 뒤 1996년 5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참여연대 사무처장을 지내면서 실무를 총괄했다. 참여연대가 급성장한 시기다.

참여연대는 ‘시민없는 시민운동’ ‘백화점식 활동’이란 지적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비판의 대부분은 현실적인 요구가 더 커지고 다양해졌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만큼 참여연대가 한국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